📗 스터디#Cloud#nodeJS#Web
AWS Elastic Beanstalk 배포
2020-10-18 | 🕒 읽는 데 0분 예상작성자
u
카테고리
📗 스터디
작성일
‣
태그
Cloud
nodeJS
Web
설명
상태
배포됨
최하위 정렬
최하위 정렬
forest_분류
forest_날짜
AWS EC2
AWS Elastic Beanstalk는 웹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를 서버에 손쉽게 배포하고 확장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.
AWS Elastic Beanstalk 콘솔 바로가기
배포하기
먼저 Hello World!를 출력하는 간단한 페이지를 만들어줍니다.
var http = require('http'); var server = http.createServer(function(request, response) { response.writeHead(200, { "Content-Type": "text/plain" }); response.end("Hello World!"); }); var port = 8080; server.listen(port);
AWS 콘솔에 로그인을 한 후 Elastic Beanstalk 콘솔로 이동해줍니다.
Create Application을 눌러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해줍니다.
![notion image](https://www.notion.so/image/https%3A%2F%2Fi.imgur.com%2FwJCSnGV.jpg?table=block&id=d0b0de7b-89da-4181-b3ab-eae940c35b11&cache=v2)
애플리케이션 이름을 정해주고, 플랫폼은 Node.js를 선택해주세요.
애플리케이션 생성 버튼을 눌러줍니다.
![notion image](https://www.notion.so/image/https%3A%2F%2Fi.imgur.com%2Fh3lqiVW.png?table=block&id=61564b61-d8fa-4aab-9e33-6da4587bf2b5&cache=v2)
![notion image](https://www.notion.so/image/https%3A%2F%2Fi.imgur.com%2FlkPCUUn.png?table=block&id=623a5c0f-aedd-4b0d-95af-ca181c0312a0&cache=v2)
환경이 생성될 때까지 몇 분 정도 기다려주면 앱 배포가 완료됩니다.
완료되면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해 만든 애플리케이션을 눌러주세요.
![notion image](https://www.notion.so/image/https%3A%2F%2Fi.imgur.com%2FKu7WL93.png?table=block&id=b4da5508-e5c5-4bb8-876c-ff6d7785655c&cache=v2)
상태가 OK인 것을 확인하고 환경 이름(위에서는 Helloworld-env)를 눌러주세요.
![notion image](https://www.notion.so/image/https%3A%2F%2Fi.imgur.com%2F0zRoSTc.png?table=block&id=79f6e712-aa8e-46f6-beac-3b5c474697e1&cache=v2)
이런 창이 뜨면 성공입니다.
![notion image](https://www.notion.so/image/https%3A%2F%2Fi.imgur.com%2FJ1dJxBO.png?table=block&id=decf8fdd-ede5-42f0-8ed3-b41acfb88010&cache=v2)
Helloworld-env 아래에 있는 링크를 눌러 이동해봅시다.
여기서는 샘플 애플리케이션으로 시작을 설정했으므로 아직 소스코드를 올리지 않았지만, 애플리케이션 링크를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샘플 페이지가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![notion image](https://www.notion.so/image/https%3A%2F%2Fi.imgur.com%2F2M0Rg4t.png?table=block&id=928bff00-cbc9-427f-9274-bdbce69fd4c3&cache=v2)
이제 처음에 만든 Hello World 웹페이지를 업로드해봅시다.
![notion image](https://www.notion.so/image/https%3A%2F%2Fi.imgur.com%2FG7HttiJ.png?table=block&id=4b73989c-4c48-4522-ab64-0e52fca147a9&cache=v2)
먼저 아까전에 만든 앱 폴더를 zip으로 압축해줘야 합니다.
알집과 같은 압축 프로그램을 사용하시면 됩니다.
파일 선택을 눌러 zip파일을 업로드한 후에 버전 레이블의 이름을 변경해줍니다.
버전 레이블은 배포할 때마다 달라져야 합니다.
![notion image](https://www.notion.so/image/https%3A%2F%2Fi.imgur.com%2F5ymTXG3.png?table=block&id=662678d7-def9-4b7f-850a-db93c6f7dcbf&cache=v2)
이제 배포를 눌러주세요. 상태가 체크 표시로 바뀔 때까지 기다린 후 아까 전에 접속했던 링크로 다시 들어가줍니다.
![notion image](https://www.notion.so/image/https%3A%2F%2Fi.imgur.com%2F4iInEhz.png?table=block&id=e37bcc1b-dfd0-408c-b557-f5cee1b68fbc&cache=v2)
성공적으로 배포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!
이번 포스팅에서 사용한 것은 zip파일을 직접 업로드하는 방식인데요.
AWS CLI라는 것을 이용해서 콘솔에서 업로드할 수도 있습니다.
노트
필자는 처음 서버 배포 후 상태가 체크표시(확인)이 아닌 심각으로 표시되며 502 Gateway Error가 표시되었다.
확인해보니 배포한 코드에서 포트가 3000으로 지정되어 있었는데, 8080으로 지정해주어야 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