REST API?
REST는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라는 용어의 약자이다.
HTTP의 주요 저자 중 한 사람인 로이 필딩은 웹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아키텍처로써 REST를 발표했다.
구성
REST API는 다음의 구성으로 이루어져있다.
자원(RESOURCE) - URI
행위(Verb) - HTTP METHOD
표현(Representations)
특징
- Uniform (유니폼 인터페이스) Uniform Interface는 URI로 지정한 리소스에 대한 조작이 통일되고 한정적인 인터페이스로 수행한다.
- Stateless (무상태성) 세션 정보나 쿠키정보를 별도로 저장하고 관리하지 않기 때문에 API 서버는 들어오는 요청만을 단순히 처리하면 돼 구현이 단순하다.
- Cacheable (캐시 가능) HTTP라는 기존 웹표준을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, 웹에서 사용하는 기존 인프라를 그대로 활용이 가능하다.
- Self-descriptiveness (자체 표현 구조) REST API 메시지만 보고도 이를 쉽게 이해 할 수 있는 자체 표현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.
- Client - Server 구조 REST 서버는 API 제공, 클라이언트는 사용자 인증이나 컨텍스트(세션, 로그인 정보)등을 직접 관리하는 구조로 각각의 역할이 명확하게 구분된다.
- 계층형 구조 REST 서버는 다중 계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보안, 로드 밸런싱, 암호화 계층을 추가해 구조상의 유연성을 둘 수 있고 PROXY, 게이트웨이 같은 네트워크 기반의 중간매체를 사용가능하다.
설계 규칙
먼저 가장 중요한 규칙은 다음 두 가지이다.
URI는 정보의 자원을 표현해야 한다.
자원에 대한 행위는 HTTP Method(GET, POST, PUT, DELETE)로 표현한다.
- URI는 정보의 자원을 표현해야 한다. 예를 통해 알아보자.
GET /members/delete/1
위 코드는 나쁜 예이다. URI에는 delete와 같은 행위 표현이 들어가면 안된다.
위의 URI를 HTTP Method를 통해 수정하면 아래와 같다.
DELETE /members/1
이러한 방식으로 어떤 데이터를 가져올 때는 GET, 추가 작업을 할 때는 POST 등을 사용하면 된다.
- POST - POST를 통해 해당 URI를 요청하면 리소스를 생성합니다.
- GET - GET를 통해 해당 리소스를 조회합니다. 리소스를 조회하고 해당 도큐먼트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가져온다.
- PUT - PUT를 통해 해당 리소스를 수정합니다.
- DELETE - DELETE를 통해 리소스를 삭제합니다.
- 슬래시 구분자(/)는 계층 관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.
- URI 마지막 문자로 슬래시(/)를 포함하지 않는다.
<http://example.com/foods/fruits/> (X) <http://example.com/foods/fruits> (O)
- 하이픈(-)은 URI 가독성을 높이는데 사용 URI를 쉽게 읽고 해석하기 위해, 불가피하게 긴 URI경로를 사용하게 된다면 하이픈을 사용해 가독성을 높일 수 있다.
- 밑줄(_)은 URI에 사용하지 않는다. 가독성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밑줄 대신 하이픈(-)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.
- URI 경로에는 소문자가 적합하다. URI 경로에 대문자 사용은 피한다. 대소문자에 따라 다른 리소스로 인식하게 되기 때문이다.
- 파일 확장자는 URI에 포함시키지 않는다.
<http://example.com/foods/fruits/apple/photo.jpg> (X)
이 경우 Accept header를 사용한다.
GET / foods/fruits/apple/photo HTTP/1.1 Host: example.com Accept: image/jpg
- REST 리소스 간에는 연관 관계가 있을 수 있다.
/리소스명/리소스 ID/관계가 있는 다른 리소스명
일반적으로 소유 ‘has’의 관계를 표현할 때 아래와 같이 구현한다.
GET : /users/{userid}/devices
- 자원을 표현하는 Colllection과 Document Document는 단순히 문서로 이해해도 되고, 한 객체라고 이해해도 된다. Colllection은 문서들의 집합, 객체들의 집합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. 컬렉션과 도큐먼트는 모두 리소스라고 표현할 수 있으며 URI에 표현된다
<http://example.com/fruits/apple>
위 URI에서 fruits 컬렉션과 apple 도큐먼트로 표현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.
HTTP 응답 상태 코드
- 200 -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정상적으로 수행함
- 201 - 클라이언트가 어떠한 리소스 생성을 요청, 해당 리소스가 성공적으로 생성됨(POST를 통한 리소스 생성 작업 시) 상태코드
- 400 -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부적절 할 경우 사용하는 응답 코드
- 401 - 클라이언트가 인증되지 않은 상태에서 보호된 리소스를 요청했을 때 사용하는 응답 코드 (로그인 하지 않은 유저가 로그인 했을 때, 요청 가능한 리소스를 요청했을 때)
- 403 - 유저 인증상태와 관계 없이 응답하고 싶지 않은 리소스를 클라이언트가 요청했을 때 사용하는 응답 코드 (403 보다는 400이나 404를 사용할 것을 권고. 403 자체가 리소스가 존재한다는 뜻이기 때문에)
- 405 -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리소스에서는 사용 불가능한 Method를 이용했을 경우 사용하는 응답 코드 상태코드
- 301 -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리소스에 대한 URI가 변경 되었을 때 사용하는 응답 코드 (응답 시 Location header에 변경된 URI를 적어 줘야 한다.)
- 500 - 서버에 문제가 있을 경우 사용하는 응답 코드
댓글